디폴트값은 함수의 인수나 객체를 분할 대입할 경우 설정해 사용한다.
값이 존재라지않을떄 초기값 설정을 할 수 있어서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디폴트값은 아무값이 없을때 설정되어지는 값이기 때문에 만약 해당 객체에 설정된 값이 있다면
해당값 우선으로 할당된다.
- 객체분할대입의 디폴트값
- 인수의 디폴트값 설정
객체분할대입의 디폴트값 설정
객체분할대입때 디폴트값을 설정할 수 있다.
디폴트값을 설정하지않을경우
const를 사용하여 name이라는 key값이 object안에 담겼지만 아무런 값이 없기떄문에
undefined가 출력된다.
이떄 디폴트값을 넣어주면 undefined 대신 "기본으로 설정된 값이" 출력된다.
인수의 디폴트값을 주지않을경우
name이라는 매개변수 자리는 만들어줬기때문에 undefined출력됨
인수의 디폴트값 설정 방법
새싹 DT 기업연계형 프론트엔드 실무 프로젝트 7주차 블로그 포스팅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12-07 [새싹 프론트엔드] useState 객체로 값 받아오기 (0) | 2022.12.07 |
---|---|
2022-12-05 [새싹 프론트엔드] 리액트 라우터 router (0) | 2022.12.05 |
2022-12-03 [새싹 프론트엔드]useState 무한루프방지 (0) | 2022.12.03 |
2022-11-23 [새싹 프론트엔드] 객체분할대입 { } , 배열분할대입 [ ] (0) | 2022.11.23 |
2022-11-22 [새싹 프론엔드]고차함수,콜백함수,익명함수 (0) | 2022.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