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백함수란?
1. 함수안에 매개변수로 들어가는 함수
2. 순차적으로 실행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3. 다른 줄에서 만든 함수도 콜백함수로 사용할 수 있다. (()안에 바로 함수명쓰고 사용해도된다)
4. 아무대서나 쓰이는것이 아니라 콜백함수가 필요한 함수들한테만 사용할 수 있다. setTimeout, addEventListener
예 )EventListener 같은 버튼을 "누르면 " 실행해주세요~ 와 같이 나중에 처리하고 싶을 때
콜백함수 만드는 법
콜백함수를 굳이 쓰는이유는 코드는 길어지는데 정확하게 함수명1 뒤에 함수명5가 오게하고싶을떄
안정적으로 매개변수로 값을줘서 편리하게 가져다 쓰면된다.
익명함수 사용법
대표적인 예시로 JS내부에 이미 만들어져있는 setTimeout함수로 예시를 들자면 해당함수는 맞춰진 시간에 맞춰
안에 있는 데이터를 실행하는 익명 함수이다.
그러므로 따로 선언을 해주거나, 화살표함수를 사용할때 선언을 따로 해줄 필요가 없다.
아래 코드를 보면 선언부가 빠진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고차함수() 안에 콜백함수를 넣어준다.
새싹 DT 기업연계형 프론트엔드 실무 프로젝트 6주차 블로그 포스팅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12-07 [새싹 프론트엔드] useState 객체로 값 받아오기 (0) | 2022.12.07 |
---|---|
2022-12-05 [새싹 프론트엔드] 리액트 라우터 router (0) | 2022.12.05 |
2022-12-03 [새싹 프론트엔드]useState 무한루프방지 (0) | 2022.12.03 |
2022-12-01 [새싹 프론트엔드] 디폴트값 (0) | 2022.12.01 |
2022-11-23 [새싹 프론트엔드] 객체분할대입 { } , 배열분할대입 [ ] (0) | 2022.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