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08 강의 내용
- 함수
- 다이얼로그
- 화살표함수
함수란?
코드의 집합, 특정 작업을 할수 있도록 설계된 코드블록{}
함수는 선언하는 부분과 호출하는 부분으로 나뉜다.
누군가 함수를 호출할때 실행된다.
문을 쓰고 블록으로 감싸서 실행하는 것
함수를 사용하는이유
명령이 필요할 때와 필요없을때 필요에 따라서 적합하게
사용하기위해 함수 선언과 함수호출 부분이 나눠져있는것이다.
*블록
{중괄호} 안에 둘러쌓인 부분
- 함수의 선언과 호출
- 매개변수와 리턴키워드
- 변수식 함수선언
- 내장함수
- 즉시호출함수
매개변수(Parameter) 사용자가 어떤 값을 사용할지 모르기 떄문에 미지의수를 사용한다. |
인수를 받기위해서 임의의 변수이름을 지어준부분![]() |
내장함수 | alert () 함수처험 자바스크립트가 미리 만들어놓은 함수 |
인수 | 함수를 호출할때 데이터를 넘겨주는 부분![]() |
함수의 기본 문법↓
함수를 선언만하고 호출하지않는 경우가 많다
함수를 꼭 호출해주자
//값을 하나만 할당
<script>
function su(name) {
console.log(name + "입니다");
}
su("수");
</script>
// 값을 두개 할당
이경우 , 콤마를 기준으로 name==수, price==2000이다
<script>
function su(name, price) {
console.log(name + price + "입니다");
}
sua("수", 2000);
</script>
return
return 키워드는 함수 안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함수를 호출한 부분으로 데이터를 전달해주기 위해서 사용한다.
- 매개변수값을 새롭게 반환하라는 의미로 사용 | return + y //리턴뒤에 매개변수가 있는 경우
- 함수 코드블록 {} 을 벗어나서 명령을 그만 사용해라 의미로 사용 | return // 리턴만 있는 경우
화살표함수를 사용하면 {}중괄호 생략이 가능하다.
중괄호 안에 코드가 한줄이고 매개변수가 들어있지않을때만
//코드가 한줄인 함수
let sum = () => {
console.log("안녕하세요");
};
sum();
//코드가 한줄인 함수 이렇게 중괄호생략이 가능하다
let sum = () => console.log("안녕하세요");
sum();
매개변수가 1개일 경우 소,중괄호 생략가능
'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11-13] HTML DOM이란? DOM객체선택 (0) | 2022.11.13 |
---|---|
[2022-11-09 새싹 프론트엔드] class (0) | 2022.11.09 |
[2022-11-07 새싹 프론트엔드] 객체 (0) | 2022.11.07 |
2022-11-02 새싹 프론트엔드] 배열 (0) | 2022.11.02 |
2022-11-01 [새싹 프론트엔드] 조건문과 반복문 (0) | 2022.11.01 |